홍채연(b.1991)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며 학사와 석사 학위를 모두 취득했다. 지금까지 두 차례 개인전을 열었으며, 다수의 단체전과 수상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면서도 점차 국제적인 맥락으로 활동을 확장하고 있으며, 미국·중국·영국 등에서 열린 국제 레지던시에 참여했다.
그녀의 회화는 꾸준히 ‘경계’라는 개념을 탐구한다. 경계는 단순한 구분선이 아니라, 서로 다른 요소들이 섞이고 공존하는 미학적 공간이다. 홍채연은 스스로를 ‘경계인(boundary person)’이라 규정하며, 다양한 삶의 경험과 예술적 활동을 작품 속으로 담아낸다.
그녀의 작업은 일상에서 수집한 디지털 이미지, 개인적 기억, 사회적 상징 등을 상상의 대화로 재구성한다. 선형적 내러티브를 따르지 않고, 느슨하게 연결된 다층적 이미지 구조로 전개되며, 단일 캔버스를 넘어 가장자리로 확장되고 때로는 설치 형식과 결합된다. 벽, 바닥, 천장까지 이어지는 작업은 관람자의 움직임과 시선에 따라 변화하는 열린 시각적 장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증식하는 회화(proliferating painting)’는 고정된 틀을 벗어나 비선형적이고 다중 시각적 경험을 제안하며, 정체성과 현실, 환상,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역동적이고 진화하는 시각적 형식으로 재구성한다.
Chaeyeon Hong (b.1991) studied paint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where she earned both her BFA and MFA degrees. She has held two solo exhibitions and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shows and award programs. While based in Seoul, her artistic practice has increasingly expanded to an international context, and she has participated in residencies in the US, China, and the UK.
Through painting, Hong persistently explores the concept of “boundary.” For her, a boundary is not a mere dividing line but an aesthetic space where different elements mix and coexist. She identifies herself as a “boundary person,” situated between worlds, and channels her diverse life experiences and artistic ventures into her work.
Her practice involves reconfiguring visual materials collected from daily life—digital imagery, personal memories, and social symbols—into imagined dialogues. Rather than forming a linear narrative, her paintings unfold as loosely connected and multilayered image structures. Her works extend beyond the confines of a single canvas, spilling onto the edges, connecting multiple canvases, and often incorporating installation. By traversing walls, floors, and ceilings, her paintings transform into open visual fields that shift with the viewer’s movement and gaze.
This “proliferating painting” breaks away from the fixed frame, proposing nonlinear and multi-perspectival experiences. It represents her ongoing painterly experiment of reconfiguring boundaries of identity, reality and fantasy, online and offline into dynamic and evolving visual forms.
